본문 바로가기

업무에 참고되는 용어 모음

EB 2022.09.21 09:39 read.26

-출처 : https://medium.com/@junkim0312/

-출처 내용 외 추가되는거 있음

 


ㅁ 업무프로세스 용어            
1.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 기업 경영 내용이나 경영 과정 전반을 분석하여 경영 목표 달성에 가장 적합하도록 재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기업 형태, 사업 내용, 조직, 사업 분야 등을 재구성하는 것
3. AS-IS 분석 기법 : 현재의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
5. TO-BE 분석 기법 : 미래에 구현하고자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분석
7.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각정 관리시스템의 경영자원을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재구축
9. CSF(Critical Success Factors) : 전략 정보 시스템(SIS) 실현을 위한 수법의 하나
10. SAP(System Applications and Products) : 재무, 인사(HR), 제조, 공급망, 서비스, 구매조달 등의 프로세스를 포함한 비즈니스 전반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11. SIS(Strategic Information System) : 종래의 정보 시스템이 기업 내 업무의 합리화나 효율화에 역점을 두었던 것에 반하여, 기업이 경쟁에서 승리하여 살아남기 위한 필수적인 시스템이라는 뜻에서 전략 정보 시스템
13. POS(Poinnt Of Sale) : 상점의 전자식 금전 등록기, 정찰 판독 장치 등을 컴퓨터에 연결하여 상품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15. ITA(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 조직 전체의 정보화 구성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한 뒤 이들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정리한 체계 및 이를 바탕으로 정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방법, EA, TRM, SP 등 3가지 요소로 구성
17. EA(Enterprise Architecture) : 기업의 목표와 요구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IT인프라 각 부분이 어떻게 구성되고 작동왜야 하는가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작업
19. TRM(Technical Reference model) : 조직의 정보화 추진을 위한 정보 서비스의 기본 틀과 개념을 추상화한 구조 및 구성 요소 간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모형
21. SP(Standards Profile) : 상호 접속이나 상호 운용이 쉽도록 하기 위한 상세 규격
23. SWOT 분석 :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25.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 정보 시스템 구축의 출발점인 계획 단계, 기업의 정보화 전략 계획 활동
27. RTE(Real-Time Enterprise) : 실시간의 정보 유통을 통해 업무 지연 요소를 최소화하고 의사 결정의 스피드를 놉여 경쟁력을 극대화한 기업
29. SCM(Supply Chain Management) : 제품이 생산되어 판매되기까지의 모든 공급과정을 파악,관리하는 경영 전략 시스템
31.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고객 관계를 관리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가리키는 용어
33.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 업무프로세스를 표준화,간소화 하고 비정형화된 업무구성을 시스템화해 임무와 책임을 명확히 하고자 하는 경영방법
35. SEM(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 : 전략중심형조직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경영 프로세스와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기업경영체
37. BSC(Balanced Score Card) : 고객(고객만족도, 신규고객창출), 내부프로세스(혁신, 운영), 학습(직원역량, 정보시스템능력) 등을 추가하여 균형있게 평가하는 무형의 자산 평가 모델
39. VBM(Value Based Management) : 회계상의 매출, 이익 중심에서 벗어나 경제적 이익에 근거한 기업가치 중심으로 하는 기업 관리 기법
41. 5 FORCE : 마이클 포터에 의해 제안된 산업 분석 도구, 기존 기업들 간의 경쟁, 잠재적 진입자들의 위협, 대체 상품의 위협, 구매자들의 교섭력, 공급자들의 교섭력
43. Mckinsey 7S Model : 조직 개발 또는 조직 변혁 모델, Shared Value, Strategy, skill, style, staff, structure, system
45. 회계 : 의사결정을 하는 데 유용한 재무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또는 체계
47. 손익계산서 : 순이익을 계산, 확정하는 보고서
49. CALS(Commerce At List Speed) : 제품의 계획 설계 조달 생산 사후관리 페기 등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해 관련기업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시스템
51. G2B : 정부와 기업 간 전자상거래
53. BPMS(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 프로세스를 명확히 정의하고 자동화, 최적화하며, 업무와 인간과 시스템간의 관계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55. 마르미 : 한국형 정보시스템 구축 방법론
57.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 : 레고 블록처럼 하나하나씩 요소별로 부품화하여 구축하는 것
59. PDM(Product Data Management) : 제품의 기획에서 설계/제조/인증 및 마케팅에 이르는 제품 개발의 각 과정의 모든 데이터를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것
61. BOM(Bill Of Material) : 어떤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부품의 소요량을 나타내는 물자표
63.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투자, 생산, 판매, 경리, 인사 등 경영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하여 생산성과 수익성을 높이고자 하는 정보 체계
65. PI(Process Innovation) :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 조직, IT => PI 추진 3요소
67. Six Sigma : 품질 혁신과 고객 만족을 달성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문제 해결 방법.
69.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기업에서 운영하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합,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려눈 시도
71. VOC(Voice Of Customer) : 고객 불만사항을 접수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처리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
73. MOT(Moment Of Truth) : 투우사가 소의 급소를 찌르는 순간, 소비자들이 제품 또는 서비스에 접촉하게 되는 극히 짧은 시간 동안이라도 브랜드와 기업에 대한 좋은 인상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드는 마케팅 기법
75. Semantic Web : 사용자가 정보를 검색하면 컴퓨터가 정보를 찾아 그 뜻을 이해하고 추론까지 하는 컴퓨터 기술
77. BRMS(Business Rul Management System) : 어플리케이션으로 부터 비즈니스 룰을 분리시켜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용 플랫폼
79. TPS(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거래를 처리하고 그 거래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정보시스템
81. ABC(Activity Based Costing) : 비즈니스를 업무 활동 단위로 세분해서 각 업무 활동 단위마다 소요 경비를 수치화 하는 방법
83. DSS(Decision Support System) :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형화되지 않느 문제에 관해 의사 결정자가 효과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85.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 조직의 목표 달성의 정도를 계량하는 지표
87.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 문서와 자료를 작성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일관성 있게 전자적으로 통합관리
89. CPM(Corporate Performance Management) : 기업 경영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예측 경영을 통한 최적의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91. EP(Enterprise Portal) : 기업들이 인터넷 사업을 하려고 종업원, 고객, 공급자, 동업자 들을 하나로 묶어서 기업의 여러 정보와 업무 처리 들을 지원하는 사이트
93. EIP(Enterprise Information Portal) : 기업 자원 관리, 고객 관례 관리, 공급 사슬 관리, 전자우편, 텍스트 파일, 문자 서식 등 기업 내부 정보등을 웹 포털 형태로 제공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
95.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극고형 칩에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안테나를 달아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97. E-BIZ :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와 관련된 모든 거래 행위와 가치를 창줄하는 비즈니스 활동
99. Reengineering : 인원삭감, 권한이양, 노동자의 재교육, 조직의 개편 등을 함축하는 말
101. AIS(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 회계정보를 회사 전체의 종합 시스템으로 결합/처리하여 경영 각층에 필요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한 시스템
103. IMS(Intelligent Manufacturing System) : 기존 정보 통합 시스템에 지능화를 가미, 자율적인 정보분석 및 판단을 할 수 있게 해 경영 전반에 걸쳐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최신 시스템
105. push-based : 고객 단말기에 쿠폰, 마일리지등을 텍스트나 이미지로 전달하는 방식, 고객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
107. pull-based : 푸시 방식에 비해 고객의 반감이 적고,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109.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함으로써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정보 시스템
111. Cop(Community of Practice) : 공동의 주제와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서로 신뢰를 바탕으로 해당 주제 영역의 지식과 기술을 체계화 하고 체득된 결과를 공유하고 실천함으로써 지식을 창조하고 공유하는 집단을 말한다.
113. LMS(Loyalty Management System) : 다양한 로열티를 제휴사 간 통합 운영 및 특정 가맹점들 간의 연합 운영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 ex) 통신사 멤버쉽카드
115.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기술 아키텍처, IT 시트템을 비즈니스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117. EDI(Enterprise Data Interchange) : 상업 거래를 위한 자료를 데이터 통신 회선을 통해 표준화된 포맷과 규약에 따라 컴퓨터 간에 온라인으로 전달하는 것
119. Data Mining : 각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인공 지능 기법을 통해 자동적으로 찾아 주는 과정
121. PRM(Partner Relationship Management) : 기업이 고객의 만족도와 매출을 높이려고 파트너들과 협엽하는 솔루션
123. COCOMO(Constructive Cost Model) : 소프트웨어 개발의 비용 예측 모형, 보임이 제창 했다.
125. Server Side : 서버 쪽에서 행해지는 처리
127. 형상 관리 : 문서화하고 그들 특성의 변경을 관리하며 변경의 과정이나 실현 상황을 기록/보고하여 지정된 요건이 충족되었다는 사실을 검증하는 것
129. 외부 엔티티 : DFD(Data Flow Diagram)는 네 가지 도형으로 구성됩니다.
  - 처리과정 또는 프로세스
  - 데이터 흐름
  - 데이터 저장소
  - 종단점 또는 외부엔터티
130. Connectivity : 서로 다른 기종 접속의 접속성
131. EVA(Economic Value Added) : 영업 이익에서 법인세와 자본비용을 차감한 이익
132.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 구입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소프트웨어를 매월 요금을 받고 빌려준다.
133. WBS(Work Breakdown Structure) : 프로젝트 일정 관리 기법
134. BI(Business Intelligence) : 신속하고 정확한 비즈니스 의사 결정을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의 접근, 수집, 보관, 분석 등의 애플리케이션 과 기술의 집합
135. PLANT FACTORY : 최첨단 고효율 에너지 기술을 결합해 실내에서 다양한 고부가 가치의 농산물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 농업
136.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 재난 발생 시 비즈니스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
137. MRP(Material Requirement Program) :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서 부품이 투입될 시점과 투입되는 양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138. TQM(Total Quality Management) :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 뿐만 아니라 경영과 업무, 직장환경, 조직 구성원의 자질 까지도 품질개념에 넣어관리해야 한다는 주장
139. CKO(Chief Knowledge Officer) : 기업내의 지식 활동을 총괄하는 최고 책임자

140. RFQ (Request for Quotation) : 회사 또는 공공 기관이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 구매에 대해 공급업체로부터 견적을 요청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ㅁ 신기술 동향 용어
1. ITIL(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Library) : Best Pratice를 제공하는 IT 서비스, ITSM분야의 업계 최고 실행 지침서
2. ITSM(IT Service Management) : 프로세스와 고객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 관리
3. ISO 2000 : IT 서비스관리(ITSM) 국제 표준
4. SLA:서비스사업자와서비스사용자가제공될정보서비스및그와연관된여러 조건들에 대한 서로의 책임과 의무 사항을 기술해 놓은 협약서
5. 증강현실 :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와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의 하나를 의미
6. 모바일컴퓨팅 : 무선 이동통신과 PDA,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와 통신기술을 효과적으로 연계시켜 언제, 어디서나 이동하면서 정보교환이나 수집, 검색, 정리, 저장하는 기술
7. SCM : 공급 체인을 재공학 및 동시 공학기법을 활용해서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려는 기법
8. 플래시메모리 : 소비전력이 작고, 전원이 꺼지더라도 저장된 정보가 사라지지 않은 채 유지되는 특성을 지닌 기억장치이다. 또한 작고 가벼워 이동성이 좋다.
9. VOD : 시청자의 요구에 따라 비디오가 선택되면 비디오 서버는 해당 비디오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비디오를 전송한다.
10. Nomophobia : 휴대전화가 없을 때 초조하거나 불안감을 느끼는 증상
11. IMS(IP Multimedia Subsystem) :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
12. NDN(Named Data Networking) :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CCN)와 동일한 개념. 인터넷 주소가 필요없이 콘텐츠 자체를 네트워킹의 주체로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가장 가까운 곳에서 가져올 수 있다.
13. Social Dining : SNS를 통해 관심사가 비슷한 사람끼리 만나 식사를 즐기며 인간관계를 맺는 것
14. AMR(Automatic Meter Reading) : 자동 원격검침 시스템으로 검침원이 일일이 고객을 방문안하고 데이터를 읽는 것
15. Foursquare : 구글에서 독립한 데이스 크롤리가 발표한 위치기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16. Infodemics : 정보와 전염병의 합성어.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발달로 잘못된 정보나 소문이 지나치게 빨리 확산되면서 대중의 두려움이 필요 이상으로 증폭되는 현상을 말한다.
17. Hash Tag : 소셜미디어에서 특정 핵심어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
18. Smoke testing :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식별하고 변경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시험의 형태. 하드웨어 기기 수리 후 다시 동작시켜 보아 연기가 나지 않는가를 검사하는 것에서 유래된 용어
19. Digital Footprint : 사람들이 여러 웹페이지에 로그인을 하거나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 등 온라인 활동을 하면서 남긴 기록
20. Ransomware : 인터넷 사용자의 컴퓨터에 잠입해 내부문서나 스프레트 시트, 그림파일 등을 암호화해 열지 못하도록 만든 후 돈을 보내주면 해독용 열쇠 프로그램을 전송해 준다며 금픔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
21. POSIX : 이식성이 높은 유닉스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IEEE가 책정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규격
22. Bitcoin : 가상화폐
23. CordCutters :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선택하는 소비자군
24. FinTech : Finance(금융) 와 Technology(기술)의 합성어, ex) 카카오페이, 간편결제
25. Trackback : 댓글을 올리는 대신에 자신의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글의 일정 부분이 다른 사람의 댓글로 보이도록 하는 것.
26. Webaholism : 인터넷 중독증 또는 web과 alcoholism(알코올 중독증)의 합성어
27. Subscription Commerce : 정기구독을 뜻하는 서브스크립션과 상업을 뜻하는 커머스의 합성어
28. Zapping Effect : 채널을 돌리다가 중간에 있는 채널의 시청률이 높아지는 현상 ex)홈쇼핑
29. IoT :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
30. Thin Client : 하드디스크 없이 네트워크 접송장치 기능만 가지는 윈도기반 단말기를 서버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서버기간 컴퓨팅 환경
31. Bio informatics : 생물학적 데이터를 수집, 관리하는 기술
32. DevOps : 시스템 개발과 운영을 병행
33. Smart grid :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
34. SDN(Software Defined Network) : 클라우드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스마트 TV, Big Data, 사물지능통신 등 상이한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은 인프라의 동작이 다양한 서비스와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유연한 구조(Flexible Architecture)를 충족하기 위하여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의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네트워크 경로설정과 제어 및 복잡한 운용관리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이다.
35. Hadoop : 대량의 자료(Big Data)를 처리할 수 있는 큰 컴퓨터 클러스터에서 동작하는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자유 자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오픈 소스 기반의 분산 컴퓨팅 플랫폼) 이다.
36. CC(Common Criteria) : IT 제품의 보안성을 평가하기 위한 국제 기준(ISO 표준).
37. NFC(Near Field Communication) :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38. IAM(Identity & Access Management) : 조직이 필요로 하는 보안 정책을 수립하고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의 계정과 권한을 관리하는 솔루션.
39. NScreen : 하나의 콘텐츠를 스마트폰ㆍPCㆍ스마트TVㆍ태블릿PCㆍ자동차 등 다양한 디지털 정보기기에서 공유할 수 있는 컴퓨팅ㆍ네트워크 서비스를 말한다. 이는 시간ㆍ장소ㆍ디지털기기에 구애 없이 언제 어디서나 하나의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어, 컴퓨터로 다운받은 영화를 TV로 보다가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으로 보거나, 태블릿PC로 이어서 볼 수 있는 서비스다.
40. ERM : 기업의 모든 단위업무별로 흐름도를 분석하여 어떤 과정에 어느 정도의 위험요인이 있는지 평가하여 전 조직원들이 공유하도록 함.
41. DLP : 기업 내부자의 고의나 실수로 인한 외부로의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솔루션
42. MDM(Mobile Device Management) : OTA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기기가 Power On 상태로 있으면 원격에서 모바일 기기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43. USIM :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의 단말기에 탑재된다.
44.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 다양한 IT 기술과 방식들을 이용해 조직적으로 특정 기업이나 조직 네트워크에 침투해 활동 거점을 마련한 뒤 떄를 기다려보면서 보안을 무력화 시키고 정보를 수집한 다음 위부로 빼돌리는 형태의 공격을 말한다. 악성코드에 감연됨 P2P 사이트에 접속하면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형태 등이 있다.
45. Pharming :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사용자의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도메인네임시스템 이름을 속여 사용자들이 진짜 사이트로 오인하도록 유도하여 개인 정보를 훔치는 신종 인터넷 사기 수법이다.
46. Social Engineering : 컴퓨터 보안에서 인간 상호 작용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사람들을 속여 정상 보안 절차를 깨트리기 위한 비기술적 시스템 침입 수단을 말한다. 우선 통신망 보안 정보에 접근 권한이 있는 당담자와 신뢰를 쌓고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그들의 약점과 도움을 이용하는 것이다.
47. ZEUS : 사용자의 온라인 뱅킹 계정 정보를 탈취하기 위해 개발된 상용 멀웨어이다. 주로 이메일을 통해 주로 전파됨, 감염된 컴퓨터는 사용자의 모든 키보드 입력 정보를 지정된 곳으로 보낸다.
48. DES : 데이터 암호화 표준으로 대표적인 비밀키 암호화 기법이다. 56비트의 암호/복호키를 이용하여 64비트의 평문을 암호화, 복호화하는 방식이며 IBM사에서 개발하였고, 미국 국방성에 의해 채택
49. Telepresence: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장소 또는 가상의 장소를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것이다. 통신 회선으로 컴퓨터를 원격지와 연결하여 구성한 가상현실 공간을 통해 신체적으로 가있지 않은 다른 장소에 존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50. Widget : 컴퓨터에서 운영체제의 응용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고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작은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도구이다. 브라우저 없이 제공
51. ICN : 정보 중심으로 재편성하려는 네트워킹
52. C4I : 군의 전자원을 전산화하고 네트워크로 연결해 효육적인 전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통합 전장관리 체계
53. OGSA :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 표준과 인프라 자원의 공유를 위한 그리드 기술이 결합된 개방형 표준
54. NFC :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RFID기술의 일종
55. Malware : 악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으로 악성코드 또는 악성 프로그램등으로 불린다.
56. SEO : 검색 엔진에서 검색했을 때 상위에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것
57. Patent Troll : 특허권을 비롯한 지적 재산권을 통해 로열티 수입만으로 이익을 창축하는 특허 관리 전문 기업
58. LTE : 4세대 이동통신 후보기술
59. Digital Forensics : 컴퓨터 법의학이라 불리며 휴대폰, PC등에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디지털수사과정
60. Cyber Bullying : 특정인을 사이버상에서 집단적으로 따돌리거나 집요하게 괴롭히는 행위
61. LBSNS(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족 이벤트의 정보 공유, 의사소통까지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62. Digital Prosumer : 생산자 이면서 곧 소비자라는 의미, 인터넷 커뮤니티에 참여해 콘텐츠를 즐기고 정보와 자료를 얻는 소비자이면서 동시에 의견을 적극 개진해 생산에서 영향을 미치는 사람
63. BEMS : 빌딩 내 에너지 관리 설비의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 수집 분석해 에너지 사용 효율을 개선하는 시스템
64. Sniffing(스니핑) : 네트워크의 중간에서 남의 패킷 정보를 도청하는 해킹 유형
65. owasp : 개방형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프로젝트
66. grayware(그레이웨어) : 정상 소프트웨어와 바이러스 소프트웨어의 중간에 해당
67. 아이핀 : 주민등록번호 대신 인터넷상에서 신분을 확인하는데 쓰인다.
68. 타이포스쿼팅 : 실수를 이용하기 위해 이와 유사한 유명 도메인을 미리 등록하는 일
69. RPO(목표 복구 시간) : 비상사태 또는 업무 중단 시점부터 업무가 복구되어 다시 정상가동 될때까지의 시간
70. Incremental Backup(증분 백업) : 백업 대상 데이터 영역 중 변경되거나 증가된 데이터만을 백업 받는 방식
71. DRM : 기업 내 주요 정보의 생성부터 보관, 유통, 폐기와 같은 전과정을 통제하는 솔루션
72. ad-hoc : 동적으로 경로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반구조 없는 네트워
73. ITS : 기존의 교통체계에 전자, 정보, 통신, 제어 등의 지능형 기술을 접목시킨 차세대 교통체계로 교통관련 정보와 기상 정보 등을 전달함으로써 통해의 편의와 교통량의 원활한 소통을 이루기 위한 시스템
74. 802.1X : 무선랜 간에 자료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
75. WPA : 와이파이에서 제정한 무선 랜 인증 및 암호화 관련 표준, 인증 부문에서도 802.1x 및 확장 가능 인증 프로토콜(EAP)
76. EAP : 확장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인증 방법.
77. SYN Flooding 공격 : 대량의 SYN Packet을 이용해서 타겟 서버의 서비스를 더이상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드는 공격 기법, TCP 3-way handshaking 문제점 이용
78. 기밀성(Confidentiality) : 인가 된 사용자만 정보 자산에 접근 할 수 있는 것(방화벽)
79. 무결성(Integrity) : 적절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방법으로만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
89. 가용성(Availability) : 정보 자산에 대해 적절한 시간에 접근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90. 인증(Authentication) : 다중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 또는 망 운용 시스템에서, 시스템이 단말 작동 개시 정보를 확인하는 보안 절차
91. 부인방지(Non-Repudiation) : 메시지의 송수신이나 교환 후 또는 통신이나 처리가 실행된 후에 그 사실을 사후에 증명함으로써 사실 부인을 방지하는 보안 기술
92. 접근제어(Access Control) : 사용자, 프로그램, 프로세서, 시스템 등을 허가 된 주체만이 정보 시스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
93. 시스템 보안 : 권한 없는 사용자에 의한 파일, 폴더 및 장치등의 사용을 제한하여 보호하는 시스템 기능(계정과 패스워드 관리, 세션 관리, 접근 제어, 권한 관리, 로그 관리, 취약점 관리)
94. 계정과 패스워드 관리 : 적절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가장 기본 적인 인증 수단
95. 세션 관리 : 사용자와 시스템 또는 두 시스템 간의 활성화된 접속에 대한 관리
96. 접근 제어 : 시스템이 네트워크 안에서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적절히 보호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관점에서 접근을 통제
97. 권한관리 : 시스템의 각 사용자가 적절한 권한으로 적절한 정보 자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통제
98. 로그관리 : 시스템 내부 혹은 네트워크를 통한 외부에서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경우 해당 사항을 기록
99. 취약점 관리 : 시스템을 계정과 패스워드 관리, 세션 관리, 접근 제어, 권한관리 등을 충분히 잘 갖추고도 보안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시스템 자체의 결함에 의한 것이다. 이 결함을 체계적으로 관라하는 것이 취약점 관리
100. LAND ATTACK (Local Area Network Denial Attack) : 공격자가 패킷의 출발지 주소나 포트를 임의로 변경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주소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공격 대상 컴퓨터의 실행 속도 를 느리게 하거나 동작믈 마비 시켜 서비스 거부 상태에 빠지도록 하는 공격 방법
101. Ping of Death : 인터넷 프로토콜 허용 범위 이상의 큰 패킷을 고의로 전송하여 발생하는 서비스 거부 공격
102. HTTP GET Flooding : 정상적이 접속을 한뒤 특정한 페이지를 HTTP의 GET Method을 통해 무한대로 실행하는 것.
103. HTTP CC : CC헤더 옵션은 자주 변경되는 데이터에 대해 새롭게 HTTP 요청 및 응답을 요구하기 위하여 캐시 기능을 사용하지 않게 하는 것, 웹서버는 캐시를 사용하지 않고 응답해야 하므로 웹 서비스의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104. 동적 HTTP Request Flooding : 요청 페이지를 변경하여 웹 페이지를 요청하는 기법
105. Smurfing : 엄청난 양의 접속신호를 한 사이트로 집중하여 접속 불능 상태로 만드는 해킹 기법
106. Mail Bomb : 스팸을 이용한 대량 메일 전송
107. DDos : 감연된 대량의 숙주 컴퓨터를 이용해 특정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사이버 공격

108. ECM(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 조직 내의 처리 업무에 관한 콘텐츠나 문서를 보관,전달,관리에 이용하는 기술

109. RBL(Real time Black List) : 실시간으로 차단IP를 탐지하는것

110. SPF(Sender Policy Framwork) : 메일서버 정보를 사전에 DNS에 공개 등록함으로써 수신자로 하여금 이메일에 표시된 발송자 정보가 실제 메일서버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기술